티스토리 뷰

728x90

앱상의 대문페이지라고 할 수 있는 스플래쉬 스크린, 코치마크, 워크스루의 디자인시 유념해야 할 사항에 관하여 알아보자.


스플래시 스크린

- 스마트폰에서 앱을 실행했을 때 구동 전에 나오는 화면

- iOS와 안드로이드 가이드에서는 런치 스크린Launch Screen이라고 부르는데, 최근에는 스플래시 스크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 도움말의 가적인 기능까지 포함되는 코치마크워크스루로 대체하는 추세입니다.

- 앱을 실행할 때마다 보이 기 때문에 반복적인 노출로 사용자에게 앱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 구성 : 아이콘, 로고, 스크린샷

스플래시 스크린의 역할은

  • 흰색의 빈 화면만 보일 때 와 달리 작동여부를 분명히 알 수 있어야 하면
  • 사용자의 지루함 감소
  • 브랜드 로고 노출을 통한 홍보효과가 있도록 제작 해야 합니다.
 

코치마크

- 이용법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화면

코치마크Coach Mark는 1995년 애플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사용자에게 GUI에 대해 알려주기 위 해 고안된 방법

- 대부분의 영역을 어둡게 처리한 후 해당 부분에만 하이라이트를 주고 텍스트나 이미지로 된 도움말을 덧붙이는 패턴으로 구성된다.

‘다시 보지 않음’에 체크해 처음 한 번만 나타나도록 설정
도움말 아이콘을 배치해 사용자가 이를 터치할 때마다 코치마크가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 핵심적인 상호작용에만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

텍스트가 적을수록 사용자가 읽고 실제 지시에 따를 가능성 이 커진다.
종종 특정 기능을 시도해 지시 사항을 올바르게 이해했는지 확인을 유도하는 방법도 시도할 만하다.
적절한 시점에 힌트를 하나씩 제시하면 사용자가 지침을 이해하고 배우기가 쉽다.

- 제공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많다면 워크스루를 활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워크스루

- 워크스루는 해당 앱의 사용에 관한 튜토리얼

- 코치마크보다 더 다양한 콘텐츠를 담을 수 있고 여러 페이지로 구성

- 앱의 스크린샷에서 미처 다 표현하지 못한 그래픽을 강조

- 앱의 콘셉트나 기능 또는 강조하고 싶은 점을 사용자에게 광고하는 배너 역할

- 정적, 동적 워크스루

워크스루는 여러 장의 이미지와 페이지 컨트롤을 이용하는 방식의 정적 워크스루와 동일한 행동 을 자주 경험하게 하여 학습을 유도하거나 애니메이션·동영상을 활용하는 동적 워크스루로 구분 할 수 있다.

- 순차적으로 디자 인하는 것이 좋다.

- 이미 옵션에 대해 알고 있거나 연습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를 고려해 건너뛸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해야 하며, 워크스루를 보고자 하지 않는 사용자를 위해 취소 옵션도 제공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