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알고리즘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절차를 설계 했다면, 이제는 컴퓨터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해야 합니다. 즉 특정활동을 컴퓨터에게 시키려며 프로그래밍 작업이 필요하다.  그 전에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어떠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연어 -> 컴퓨터 언어로 변환

알고리즘을 구현하려면

- 컴퓨터가 읽어서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와 사용 문법에 맞게 프로그래밍을 작성하여야 컴퓨터가 실행

자연어를 컴퓨터 언어로 변환하여 알고리즘을 구현하려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와 문법을 사용해 프로그래밍을 해야 한다. 이는 사람의 언어와는 달리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정확하고 명확한 언어로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에게 작업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로, 다양한 수준과 종류가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크게 저급 언어와 고급 언어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분류는 언어의 추상화 수준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컴퓨터에게 작업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
기계어, 어셈블리어, C, C++, 자바, 파이썬, 스크래치
저급언어와 고급언어

여기서 잠깐!

• 프로그램 : 컴퓨터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성하는 명령어들의 모임
• 프로그래밍 :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정
• 프로그래머 :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사람 또는 직업

저급 언어 (Low-Level Language): 사람이 이해하기 힘든 언어

  • 기계어 (Machine Language):
    •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로 구성되어 있다.
    • CPU의 종류에 따라 고유한 명령어가 존재하며, 매우 낮은 수준의 명령어로 이루어져 있어 컴퓨터가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 그러나 사람에게는 이해하고 작성하기 매우 어렵다.
    • 예시: 01011011 등의 이진수
  • 어셈블리어 (Assembly Language):
    • 기계어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형식으로 바꿔 놓은 언어이다.
    • 기계어와 1:1로 매핑되는 관계를 가지며, 프로세서의 명령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언어이다.
    • 어셈블리어는 기계어보다는 읽기 쉽지만 여전히 하드웨어에 밀접하게 종속적이기 때문에, 프로그래밍하기 까다롭다.
    • 예시: MOV, ADD 등의 명령어를 사용

저급 언어는 컴퓨터와 매우 가까운 언어로, 프로그래머가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지만, 코드 작성과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급 언어 (High-level Language):

  •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
    고급 언어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단어와 비슷하여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일상 언어와 가까운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 학습과 사용이 용이하다.
  • 작성 용이성: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명령어가 일상 언어와 비슷하여 기계어와 비교했을 때 훨씬 이해하기 쉽고 간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는 개발자에게 더 많은 생산성을 제공한다.
  • 저급 언어와의 차이점:
    기계어와 어셈블리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언어가 고급 언어로 분류되며, 저급 언어에 비해 코딩 부분이 훨씬 줄어들어 프로그램 개발 시간이 단축되고 유지보수도 용이하다.
  • 하드웨어 독립성:
    고급 언어는 컴퓨터 하드웨어에 독립적이다. 이는 하나의 코드가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되어 실행된다.
  • 예시 언어:
    고급 언어의 예로는 C 언어, C++, 자바 (Java), C#, 파이썬 (Python) 등이 있다. 이러한 언어들은 각각의 특성과 용도에 맞게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고급 언어는 복잡한 작업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개발자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세대별 분류

다음은 시대별로 발전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정리한 테이블이다.

세대 시기 언어 특징
1세대 1945년 기계어 (Machine Language)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는 이진수로 이루어진 언어, CPU별 고유 명령어 사용
2세대 1950년 중반 어셈블리어 (Assembly Language) 기계어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형식으로 변환, 하드웨어 종속적
3세대 1960년 초반 포트란 (FORTRAN), 알골 (ALGOL), 베이직 (BASIC), 파스칼 (Pascal) 고급 언어 등장, 컴파일러 사용, 독립적인 프로그램 개발 가능
4세대 1970년 초반 이후 SQL, 보고서 생성 언어, 비주얼 베이직 (Visual Basic) 비절차적 언어, 데이터베이스 질의 언어와 비주얼 프로그래밍 언어 발전
5세대 현재와 미래 블록 기반 비주얼 언어 (Scratch), 자연어 기반 언어 일반 사용자도 사용 가능한 블록 기반 언어, 교육 및 자동화에 적합한 언어 등장

이 테이블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각 시대별로 요약하여 보여준다.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도구

아래 도구들은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각각의 도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다양한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편집기 (Editor):
    • 프로그램 명령어인 소스 코드를 작성하고 편집하는 도구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내용을 수정하거나 새로 작성할 때 사용된다.
  2. 컴파일러 (Compiler):
    • 개발 도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작성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해 준다.
  3. 디버거 (Debugger):
    • 작성된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프로그램이 의도한 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4. 링커 (Linker):
    • 여러 목적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각 파일이 상호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여러 도구들을 하나의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개발 환경을 의미한다. 개발자가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작성, 수정, 디버깅, 실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IDE의 주요 구성 요소:

  1. 편집기 (Editor):
    • 코드 작성 및 수정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문법 강조(Syntax Highlighting), 자동 완성 등의 기능을 통해 개발자가 코드 작성 시 편의성을 제공한다.
  2. 컴파일러/인터프리터 (Compiler/Interpreter):
    • 작성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도구이다. 대부분의 IDE에는 이 컴파일러가 내장되어 있어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바로 실행할 수 있다.
  3. 디버거 (Debugger):
    •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개발자가 코드의 오류를 쉽게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게 한다.
  4. 빌드 자동화 도구 (Build Automation Tools):
    • 코드 컴파일, 패키징, 테스트 등을 자동화해주는 도구이다. 복잡한 빌드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해 개발 속도를 높인다.
  5. 버전 관리 시스템 (Version Control System):
    •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 변경 내역을 추적하고, 다양한 버전 관리 시스템(Git, SVN 등)과 통합하여 코드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IDE의 장점:

  • 편리한 코드 작성: 문법 강조, 자동 완성, 코드 템플릿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코드 작성이 효율적이다.
  • 즉각적인 피드백: 코드 작성 후 바로 실행하고 디버깅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 통합된 환경: 여러 개발 도구가 하나의 환경에서 작동하므로, 개발자가 따로 도구를 설치하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다.
  • 생산성 향상: 다양한 자동화 도구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대표적인 IDE:

  • Visual Studio: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IDE로, 주로 C#, .NET 개발에 사용된다.
  • Eclipse: 자바 개발에 널리 사용되는 IDE이다.
  • PyCharm: 파이썬 개발에 특화된 IDE이다.
  • IntelliJ IDEA: 자바와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강력한 IDE이다.
  • Xcode: macOS, iOS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IDE이다.
  • Android Studio: Android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IDE이다.

컴파일과 인터프리트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는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도구입니다. 그러나 이 둘은 작동 방식과 사용 목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컴파일러 (Compiler):

  • 동작 방식: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한 번에 기계어로 변환하여 실행 파일(executable file)을 생성한다. 생성된 실행 파일은 별도의 컴파일 과정 없이 나중에 바로 실행할 수 있다.
  • 예시: C, C++, 자바(Java) 등이 대표적인 컴파일 언어이다.
  • 장점:
    • 컴파일이 완료된 후에는 프로그램이 매우 빠르게 실행된다.
    • 소스 코드가 기계어로 변환된 상태에서 실행되므로, 배포할 때 소스 코드가 노출되지 않는다.
  • 단점:
    • 컴파일 과정에서 전체 소스 코드를 한 번에 변환하므로, 코드 변경 후에는 다시 컴파일해야 한다.
    • 실행 파일을 생성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며, 디버깅이 복잡할 수 있다.

인터프리터 (Interpreter):

  • 동작 방식: 인터프리터는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고 실행한다. 소스 코드가 실행될 때마다 인터프리터가 즉시 해석하고 그 결과를 반환한다.
  • 예시: 파이썬(Python), 루비(Ruby),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등이 인터프리터 언어로 사용된다.
  • 장점:
    • 코드 수정 후 바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개발과 테스트가 빠르다. (수정한 부분만 다시 실행 가능합니다.)
    • 한 줄씩 실행되기 때문에 디버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 플랫폼 독립적입니다. (소스 코드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실행 가능합니다.)
  • 단점:
    • 실행할 때마다 소스 코드를 해석해야 하므로,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느릴 수 있다.
    • 코드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배포 시 소스 코드 보호가 어렵다.

비교 요약:

  • 컴파일러는 전체 코드를 한 번에 변환하여 기계어로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빠른 실행 속도가 장점이다.
  • 인터프리터는 코드를 한 줄씩 해석하며 즉시 실행하는 방식으로, 개발 편의성이 뛰어나지만, 실행 속도는 느릴 수 있다.

소스작업

소스 코드 (Source Code):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작업을 기술한 내용을 소스 코드 또는 간단히 코드라고 한다. 개발자는 소스 코드를 편집기를 통해 작성하며, 이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다.예시로, C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보면, #include <stdio.h>로 표준 입력/출력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main() 함수 안에 "첫 C 프로그램!"이라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했다. 이와 같은 소스 코드는 컴파일 과정을 거쳐 실행 파일로 변환되거나, 인터프리터에 의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소스 코드는 프로그램의 핵심이며, 컴퓨터가 처리해야 할 명령어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작성한 것이다.

프로그램 구현 과정

1. 소스 코드 (Source Code):

  • 설명: 개발자가 편집기에서 작성한 코드로, 컴파일링(compiling)이나 어셈블러(assembler)에 의해 기계어로 변환된다.
  • 과정:
    • 컴파일러 또는 어셈블러를 통해 소스 코드는 **목적 파일 (Object File)**로 변환된다.

2. 목적 파일 (Object File):

  • 설명: 컴파일 또는 어셈블 과정을 거쳐 생성된 파일이다. 목적 파일은 바로 실행할 수 없고, 다른 목적 파일과 함께 **링커 (Linker)**에 의해 연결된다.
  • 과정:
    • 링커가 목적 파일들을 연결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3. 실행 파일 (Execute File):

  • 설명: 링커를 통해 생성된 실행 파일은 실제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파일이다. 이 파일은 **로더 (Loader)**에 의해 메모리에 적재된 후 실행된다.
  • 과정:
    • 로더는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적재한 후,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다.

구현 과정 전체 흐름:

  1. 원시 코드 작성 (Source Code)
  2. 어셈블러 또는 컴파일러를 통해 목적 파일 생성 (Object File)
  3. 링커를 통해 목적 파일들을 연결하여 실행 파일 생성 (Execute File)
  4. 로더가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프로그램이 실행됨.

디버깅 (Debugging)과 디버거:

  • 디버깅: 컴파일 에러나 실행 중 발생하는 에러를 수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의 명령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한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것이 디버깅의 목표이다.
  • 디버거: 디버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의 상태를 보여주거나 명령어 수행 중 발생하는 오류를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개발자는 이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를 추적하고 수정할 수 있다.
  • 중요성: 처음부터 오류가 없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디버깅 과정은 필수적이다. 디버깅을 통해 개발자는 프로그램을 점진적으로 개선해나가며, 경험이 많아질수록 에러를 쉽게 찾고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에러 또는 오류의 종류:

  1. 컴파일 에러: 컴파일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주로 문법 오류나 잘못된 명령어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2. 링크 에러: 프로그램 내의 다른 파일이나 라이브러리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3. 실행 에러 (런타임 에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오류로, 주로 메모리 문제나 잘못된 연산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디버깅은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에러를 추적하고 수정하여 프로그램이 제대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파이썬(Python) 시작

파이썬(Python)은 1990년 암스테르담의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개발한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귀도는 파이썬이라는 이름을 자신이 좋아하는 코미디 쇼인 ‘몬티 파이썬의 날아다니는 서커스(Monty python's flying circus)’에서 따왔다고 한다.

인터프리터 언어란 소스 코드를 한 줄씩 해석한 후 그때그때 실행해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언어를 말한다.

파이썬의 사전적 의미는 ‘고대 신화에 나오는 파르나소스 산의 동굴에 살던 큰 뱀’을 뜻하며, 대부분의 파이썬 책 표지와 아이콘이 뱀 모양으로 그려져 있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파이썬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교육할 때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실무를 할 때도 많이 사용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구글이다. 구글에서 만든 소프트웨어의 50% 이상이 파이썬으로 작성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이다. 이 밖에도 인스타그램(Instagram), 넷플릭스(Netflix), 아마존(Amazon) 등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IT 기업에서 파이썬을 사용한다.

또한 파이썬 프로그램은 공동 작업과 유지 보수가 매우 쉽고 편리하다. 이 때문에 이미 다른 언어로 작성된 많은 프로그램이 파이썬으로 재구성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아 사용자 층이 더욱 넓어지고 있고 파이썬을 사용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업체 또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파이썬은 인간다운 언어이다

프로그래밍이란 인간이 생각하는 것을 컴퓨터에 지시하는 행위를 말한다. 파이썬은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언어이다. 따라서 파이썬을 사용하는 프로그래머는 굳이 컴퓨터의 사고 체계에 맞추어 프로그래밍하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 이제 곧 어떤 프로그램을 구상하자마자 머릿속에서 생각한 대로 코드를 술술 써 내려가는 자신의 모습을 보고 놀라게 될 것이다.

문법이 쉬워 빠르게 배울 수 있다

파이썬은 문법이 매우 쉽고 간결하며 사람의 사고 체계와 매우 닮아 있다. 배우기 쉬운 언어, 활용하기 쉬운 언어가 가장 좋은 언어가 아닐까? 

프로그래밍 경험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파이썬의 자료형, 함수, 클래스 만드는 법, 라이브러리 및 내장 함수 사용 방법 등을 익히는 데
일주일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파이썬은 오픈 소스(open source)이므로 무료이다. 사용료 걱정 없이 언제 어디서든 파이썬을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오픈 소스란 저작권자가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별다른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복제 ·배포·수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파이썬의 주요 특징:

  1. 플랫폼 독립적인 언어:
    • 파이썬은 어떤 운영체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이다. 즉, Windows, macOS, Linux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일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어 호환성이 뛰어나다.
  2. 인터프리터 언어:
    • 파이썬은 컴파일러 언어와 달리, 소스 코드가 한 줄씩 해석되고 실행되는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이로 인해 실행 속도는 느릴 수 있지만, 프로그램을 바로 실행하고 테스트할 수 있어 개발 과정이 매우 편리하다.
  3. 객체 지향 언어:
    • 파이썬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을 지원한다. 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를 객체로 정의한 후, 각 객체의 기능(메서드)과 정보(속성)를 정의하여 결합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재사용성과 유지 보수성이 높아진다.
  4. 동적 타이핑 언어:
    • 파이썬은 변수의 타입을 미리 선언하지 않고, 프로그램 실행 시점에서 자동으로 타입이 결정되는 동적 타이핑 언어이다. 이를 통해 코드 작성이 간결하고 유연하지만, 실행 중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파이썬의 장점

쉽고 간단한 프로그래밍 언어:

  • 파이썬은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인 문법을 제공하여, 초보자도 쉽게 배울 수 있다.
  • 예를 들어, 화면에 **"Hello World!"**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파이썬과 자바(Java)의 코드를 비교해보면 그 차이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다양한 라이브러리 제공:

  • 광범위한 활용 가능: 파이썬은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분석, 웹 개발, 인공지능, 과학 계산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개발자들은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통해 복잡한 작업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 모듈과 패키지의 풍부함: 파이썬은 전 세계 개발자들이 만든 수많은 모듈과 패키지가 있으며, 이를 쉽게 사용할 수 있어 개발 속도와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는 프로그램 개발에서 중복된 코딩을 줄이고, 필요한 기능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대중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 교육용 언어로서의 인기: 이미지에 나온 그래프에 따르면, 파이썬은 미국 대학에서 기초 프로그래밍 언어로 가장 많이 선택되고 있는 언어이다. 여러 대학에서 기초 프로그래밍 강의에서 파이썬을 사용하며, 교육용으로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성장세: 파이썬은 다른 언어들과 비교해 꾸준히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파이썬의 간결함, 확장성, 생산성 등이 언어의 인기를 뒷받침하는 주요 이유이다. 또한, 많은 기업과 기관에서 파이썬을 채택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윈도우에서 파이썬 설치하기

https://www.python.org/

 

Welcome to Python.org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1. 먼저 파이썬 공식 홈페이지의 다운로드 페이지(www.python.org/downloads)에서 윈도우용 파이썬 언어 패키지를 내려받는다. 다음 화면에서 Python 3.x로 시작하는 버전 중 가장 최신의 윈도우 설치 파일을 내려받자(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의 최신 버전은 3.11.2이다).

2. 설치 파일을 실행한 후 [Install Now]를 클릭하면 설치가 진행된다. 이때 파이썬이 어느 곳에서든지 실행될 수 있도록 [Add python.exe to PATH] 옵션을 반드시 선택해야 한다.

3. 설치가 완료되면 [close]를 클릭하여 종료한다. 파이썬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시작] 메뉴의 검색 창에서 python을 검색하여 파이썬 실행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다.


01-6 파이썬과 에디터

텍스트 에디터 (Text Editor):

  • 코드 작성: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루어진 코드를 작성하는 도구이다. 개발자는 텍스트 에디터에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다.
  • 코드 실행: 텍스트 에디터에서 작성된 코드를 코드 실행기(인터프리터 또는 컴파일러)를 통해 실행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파이썬 인터프리터:

  • 실행 기능: 파이썬 코드를 한 줄씩 해석하여 실행하는 도구이다. 개발자가 작성한 파이썬 코드를 즉시 실행하고, 그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발 환경은 프로그래밍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파이썬의 간단하고 효율적인 개발 과정을 지원한다.

파이썬 대화형 인터프리터는 간단한 예제를 풀 때는 편리하지만 여러 줄의 복잡한 소스 코드를 가진 프로그램을 만들 때는 불편하다. 또한 인터프리터를 종료하면 작성한 프로그램이 사라져 다시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 번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 때는 에디터를 사용해야 한다.

에디터(editor)란 소스 코드를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도구를 말한다. 에디터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이 책에서는 그중 파이썬을 설치할 때 기본으로 설치되는 파이썬 IDLE(Integrated development and learning environment)의 에디터를 사용한다.

IDLE은 ‘아이들’이라고 읽는다.


실습 : IDLE 에디터로 파이썬 프로그램 작성하기

파이썬 IDLE은 파이썬 프로그램 작성을 도와주는 통합 개발 환경이다. [시작] 메뉴에서 ‘idle’을 검색한 후 파이썬 IDLE을 찾아 실행해 보자.

IDLE 셸은 IDLE 에디터에서 실행한 프로그램의 결과가 표시되는 창으로, 앞에서 살펴본 파이썬 셸과 기능 면에서 동일하다. 단, IDLE 셸에서 들여쓰기를 표시하는 방법이 기본 파이썬 셸과 다르므로 이 책에서는 IDLE 에디터로 작성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용도로만 사용한다. 즉, 앞으로 프롬프트(>>>)로 시작하는 예제는 IDLE 셸이 아닌 파이썬 셸로 실행해야 한다.

이제 IDLE 에디터를 실행해 보자.

IDLE 셸 창 메뉴에서 [File → New File]을 선택한다.


728x90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