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변수(Variable)
- 정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식별자(Identifier)이다.
- 역할: 값이나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처리할 때 사용된다.
- 특징:
-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면, 해당 변수는 메모리 내 공간을 차지하고 그 값을 저장한다.
- 변수에 저장된 값은 필요에 따라 참조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 변수의 값은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으며, 동일한 변수에 다른 값을 할당할 수 있다.
a = 3 #변수 할당에 사용하는 등호는 같다는 것이 아니라 할당하다는 의미이다.
print(a)
a == 3 # == 같다는 의미로 사용
b = 3
c = a + b
print(c)
age = 50
print('나의 나이는 ', age, '입니다.')
02.변수의 선언 - 생성 및 규칙
- 영문 대소문자
- 한글 등 각 나라 문자 : 그래도 영문을 사용하자
- 언더바 (_abc)
- 예약어 사용 금지
- 시작이 숫자인 것은 금지
- 일관성 있게 짓자
import keyword와 print(keyword.kwlist) 코드는 파이썬 내장 모듈인 keyword를 사용하여 파이썬의 키워드 리스트를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파이썬의 키워드는 언어에서 예약된 단어로, 변수명이나 함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
03.다양한타입의 변수
a = 176 #정수
b = 176.5 #실수
c = '홍길동' #문자
print(type(a))
print(type(b))
print(type(c))
print(type(a == b)) #boolean, 불린, 불대수
d = [1,2,3,4] # 리스트
type(d)
e = (1,2,3,4) #튜플
type(e)
f = {1:'name', 2:'phone'}
type(f)
g = {1,2,3, 'set'}
type(g)
a = True
type(a)
int(a)
a = int(4 + 7.1)
type(a)
#str 변환
a = str(a)
print(a)
type(a)
b = 3.14
b = int(b)
type(b)
04.변수에 값 입력받기
a = input('숫자를 입력 : ')
print(a)
b = a + 1 #str이기에 산술연산이 안됨
a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print(a + 1)
a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print(a + 1)
연습
키를 입력 받아보자
tall = int(input('당신의 키는? : '))
print('당신의 키는', tall, "cm입니다.")
tall_str = input('키를 소수점까지 입력하시오:')
tall_flt = float(tall_str)
tall = int(tall_flt)
print(tall)
weight = int(input('몸무게 : '))
all = tall + weight
print(all)
float_num = 3.14159
int_num = int(float_num)
import math
float_num = 3.14159
ceil_num = math.ceil(float_num)
round_num = round(float_num)
print(ceil_num) # 출력: 4 (올림)
print(round_num) # 출력: 3 (반올림)
연습 : 문장 출력
a = input('당신의 나이는 ? :')
print('당신의 나이는', a,'년을 살았습니다.')
적정몸무게 산출
tall = int(input('당신의 키는? : '))
print('당신의 적정몸무게는 ', tall-110, 'kg입니다.')
연산자란?
산술 연산자: 숫자들 간의 산술 계산을 수행합니다.
-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정수 나눗셈), % (나머지), ** (거듭제곱)
- 할당 연산자: 값을 변수에 할당하거나 조작합니다.
- = (할당), += (더하며 할당), -=, =, /=, //=, %=, *=
- 비교 연산자: 값들의 비교를 수행하고 결과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합니다. == (같음), != (같지 않음), <, >, <=, >=
- 논리 연산자: 논리적인 조건을 판단하여 결과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합니다. and (논리 AND), or (논리 OR), not (논리 NOT)
- 비트 연산자: 숫자들의 비트 단위 연산을 수행합니다. & (비트 AND), | (비트 OR), ^ (비트 XOR), ~ (비트 NOT), << (왼쪽 시프트), >> (오른쪽 시프트)
- 멤버십 연산자: 컨테이너(리스트, 튜플, 집합 등) 내부에서 멤버십을 판별합니다. in (멤버십 포함), not in (멤버십 미포함)
- 식별 연산자: 두 객체의 식별성을 판별합니다. is (객체 식별), is not (객체 식별하지 않음)
a = 3
a = b =3
print (a, b)
a = b = 3 + 5
print(a, b)
x = 5
y = 10
z = 10
w = 9
num = 10
name = "Alice"
x -= 2 # x = x - 2 과 동일
y *= 4 # y = y * 4 과 동일
z /= 2 # z = z / 2 과 동일
w //= 3 # w = w // 3 과 동일
num %= 5 # num = num % 5 과 동일
a **= 2 # a = a ** 2 과 동일
산술연산자
print(3 + 5)
print(3 - 5)
print(3*5)
print(3**3)
print(3/5)
print(3//3) #몫
print(11 %3) #나머지
연습문제
비교연산자
연습문제
08.문자열 연산
연습문제
대입연산자
우선순위
하나의 수식에 있는 여러 연산 중에서 어떤 연산을 먼저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규칙
단순계산시프로그램
a = int(input('정수1 입력:'))
b = int(input('정수2 입력:'))
print('두 숫자의 합은', a + b, '입니다.')
a = int(input('정수1 입력:'))
b = int(input('정수2 입력:'))
print('몫은', a//b, '나머지는', a%b)
성적 계산 프로그램
num1 = int(input('number1 : '))
num2 = int(input('number2 : '))
print('{} + {} = {}'.format(num1, num2, num1+num2))
print('{} + {} = {}'.format(num1, num2, num1-num2))
print('{} + {} = {}'.format(num1, num2, num1*num2))
print('{} + {} = {}'.format(num1, num2, num1/num2))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Pythagorean theorem)는 직각 삼각형의 세 변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수학적 원리입니다. 피타고라스 정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a² + b² = c²
a = float(input("첫 번째 직각 변의 길이를 입력하세요: "))
b = float(input("두 번째 직각 변의 길이를 입력하세요: "))
c = (a**2 + b**2)**0.5
print('빗변의 길이는 %f 입니다.' %(c))
원의 넓이
r = float(input('반지름?:'))
rod = round(2*3.14*r, 2)
area = round(3.14*(r**2), 2)
print('원의 둘레는 %.2f, 넓이는 %.2f' %(rod, area))
수학계산기(이차방적식)
ax² + bx + c = 0
여기서 a, b, c는 실수 상수이고, x는 미지수(변수)입니다. 2차방정식의 해(근)를 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판별식을 이용하는 방법과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공식을 이용한 해 구하기:
2차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x = (-b ± √b**2 -4ac) / 2a
a = int(input("a 값을 입력하세요: "))
b = int(input("b 값을 입력하세요: "))
c = int(input("c 값을 입력하세요: "))
print('%dx² + %dx + %d의 해는' %(a,b,c))
print()
print(-b, '±',(b**2-4*a*c)**0.5 )
print('----------------')
print(' ', 2*a, ' ')
문자 자동 전송
name1 = input('이름 1')
name2 = input('이름 2')
print('%s와 %s는 만수무강하세요' %(name1, name2))
BMI 계산
BMI(Body Mass Index)는 체질량 지수로, 인간의 체중과 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BMI는 주로 비만도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 BMI = 체중(kg) / (키(m) * 키(m))
name = input('성명:')
weight = float(input("체중(kg)을 입력하세요: "))
height = float(input("키(m)을 입력하세요: "))
bmi = weight / (height / 100) ** 2
print(name, "의 BMI:", round(bmi, 2))
본인의 키를 입력 받아 표중 체중을 출력해 보자. (* BMI = (키 - 100) * 0.9)
height = int(input('키는 : '))
BMI = (height - 100)*0.9
print('키 %d의 표준체중은 %d 입니다.' %(height, BMI))
728x90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