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데이터프레임 생성 df df class korean english math 1 1 81 82 78 2 2 79 86 79 3 3 85 83 81 4 4 83 87 80 1.1 데이터 저장 write.csv() write.csv(df, "class_mean.csv") write.csv(df, "class_mean.csv") #write.csv(데이터이름, "파일명.csv") 2. 내장 데이터셋 읽어오기 > data("iris") > write.csv(iris, "iris2.csv" ) > setwd("C:/Users/USER/Dropbox/R/Mybook/data") > write.csv(iris, "iris2.csv" ) 2.2 파일불러오기 ### 1. csv파일 불러오기, 별도의 패키지 없이 내장..

데이터프레임 행과 열로 구성된 2차원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 구조 데이터 프레임 생성 #data.frame() > korea english math df df korea english math 1 90 85 96 2 71 78 73 3 83 79 85 > str(df) 'data.frame':3 obs. of 3 variables: $ korea : num 90 71 83 $ english: num 85 78 79 $ math : num 96 73 85 > df_2 colnames(df_2) df_2 국어 영어 수학 A01 90 85 96 A02 71 78 73 A03 83 79 85 > colnames(df_2)[1] #첫번째 열 이름 출력 [1] "국어" > colnames(df_2)[2] #두번째 열..
리스트 여러종류의 데이터 유형을 한데 묶어서 구성 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 1. 리스트 생성 #list()함수 > lst lst [[1]] [1] 1 [[2]] [1] "A" [[3]] [1] TRUE [[4]] [1] "Hello world" [[5]] [1] 1 2 3 [[6]] [,1] [,2] [,3] [1,] 1 3 5 [2,] 2 4 6 > lst[[5]] [1] 1 2 3 > lst[[5]][1] [1] 1 > lst[[5]][2] [1] 2 > lst[[5]][3] [1] 3 > lst[[5]][4] [1] NA > > lst[[6]] [,1] [,2] [,3] [1,] 1 3 5 [2,] 2 4 6 > lst[[6]][1] [1] 1 > lst[[6]][2] [1] 2 > lst[[6]]..

1. 변수 2. 벡터 3. 팩터 4. 행렬 5. 리스트 6. 데이터 프레임 1. 데이터 구조와 연산 변수 (Variable) : 수시로 변하는 정보를 담는 저장 공간의 이름, 변수는 메모리 공간에 붙이는 레이블 변수는 데이터 값을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 #변수에 값 할당하기 할당(assignments)이란 어떤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 a a [1] 1 2 3 4 5 6 7 8 9 10 #seq(a,b) a에서 b까지 생성 > a a [1] 1 2 3 4 5 > b b [1] 1 3 5 7 9 11 13 > c c [1] 1 4 7 10 13 > d d [1] 2 7 12 17 > e e [1] 1.0 5.5 10.0 # rep() 반복 함수 사용 > a a [1] 1 1 1 > a ..

1. 데이터 정제하기 2. 데이터 시각화하기 1.데이터 정제하기 1. 데이터 불러오기 2. 데이터 요약 3. 데이터 추출 4. 결측치와 이상치 처리 데이터 불러오기 install.packages("ggplot2") library(ggplot2) data(iris) head(iris) 10.3 히스토그램 geom_histogram() ggplot(iris,aes(x=Petal.Length)) + geom_histogram() #종별구분색 ggplot(iris,aes(x=Petal.Length, fill=Species)) + geom_histogram() #범례감추기 ggplot(iris,aes(x=Petal.Length, fill=Species)) + geom_histogram(show.legend = F..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