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주차에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 구조의 변화와 이를 뒷받침하는 주요 기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2주차에서는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해 핵심 요소인 컴퓨터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 세상에서 정보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먼저, 컴퓨터의 개요와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살펴본 후, 디지털 데이터와 정보의 개념을 정리하고, 각 미디어가 컴퓨터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분석할 것이다.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환경에서의 디지털 세상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컴퓨터 개요즉, 컴퓨터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한 후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때, 데이터를 처리하여 의미 있는 자료가 된 것을 정보(Information)라고 한다.여기서 데이터는 디지털 자료를 의미하며, 이..

지난 4차산업혁명의 정의와 연결해서 이 강에서는 4차 산업기술을 구성하는 기반 기술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중 빅데이터, 인공지능,로봇, 드론,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순으로 한번 간략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빅데이터‘빅데이터’는 말 그대로 ‘큰 데이터’, 즉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의미한다.그렇다면 단순히 양이 많기만 하면 빅데이터라고 할 수 있을까?과거 정보화 혁명을 통해 인류는 데이터를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 단위로 디지털화하여 생산하기 시작하였다.이러한 데이터는 컴퓨터를 이용해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우리는 이 과정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이렇게 다양한 데이터를 모아 정리해 놓은 것을 우리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라고 부른다.즉, ..

안녕하세요. 컴퓨팅사고 with 파이썬 제 1강입니다. 1강에서는 본격적으로 파이선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하기 위한 실습 전에 현재의 it 기술과 4차 산업혁명의 정의 및 그 배경 기술에 관하여 몇가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특히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4차 산업시대의 환경을 이해하기위해 4차 산업혁명의 정의를 알아보고, 그 배경 기술이 되고 있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드론,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등의 주요 기술에 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우선 4차산업혁명 사전적 정의를 보면이처럼 4차산업혁명을 정보통신기술이외의 최신 기술이 융합되어 산업을 주도하고 있고 인류의 생활이 다방면에 걸쳐 변화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인류사의 사회혁명인류는 오랜 역사 속에서 네 번의 커다란 혁명을 겪어 왔다..

Siamese Neural Network? 샴 쌍둥이 네트워크(Siamese Neural Network)는 두 개의 동일한 신경망을 공유 가중치로 구성하여 두 입력 간의 유사성을 학습하도록 설계된 신경망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두 입력의 특성을 추출하고, 이 특성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두 입력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옛날 옛적, 마을에 두 명의 똑같이 생긴 쌍둥이 탐정(형제)이 살고 있었다. 이들은 서로 매우 닮았을 뿐만 아니라, 같은 사고방식과 분석 능력을 가지고 있어 사건을 해결하는 능력이 뛰어났다.어느 날, 마을에서는 두 개의 미스터리한 편지가 발견되었다. 사람들은 궁금해했다."이 두 편지가 같은 사람이 쓴 걸까?""아니면 완전히 다른 사람이 쓴 걸까?"마을 사람들은 누구에게 의뢰해..

1. 입출력 함수1.1 표출 출력함수 : print()출력(Output)이란 프로그램이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화면, 파일, 네트워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내는 과정을 말한다. 입력(Input)은 데이터를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과정이고, 출력(Output)은 처리된 데이터를 사용자나 시스템 외부로 전달하는 과정이다.파이썬에서는 print() 함수가 가장 기본적인 출력 함수이며, 주어진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기본 동작 print("Hello, World!") # 문자열 출력print(42) # 숫자 출력여러 값 출력 : 쉼표(,)를 사용하면 여러 값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할 수 있다.print("이름:", "홍길동", "나이:", 30)# 출력: 이름:..

학습목표- 감성 분석의 기초 개념과 응용 방법을 이해한다.- IMDB 영화 리뷰 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하고 긍정/부정 감성 분석을 수행한다.- WordCloud를 이용하여 긍정과 부정 단어를 시각화한다. 문장의 감정을 읽어내는 마법, 텍스트마이닝과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1.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의 개요인터넷에 남겨진 수많은 리뷰와 댓글 속에는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이 숨겨져 있습니다. 그 감정을 읽어내어 트렌드를 파악하거나 고객의 의견을 분석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수많은 리뷰와 댓글에는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과 의견이 숨겨져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면 단순히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넘어 소비자 트렌드, 시장 변화, 제품 개선 방향 등 유의미한 인사이트(..

학습목표- 텍스트 데이터 클러스터링의 기본 개념 이해- K-Means 알고리즘과 텍스트 데이터에의 활용 방법 학습- Python을 활용한 간단한 클러스터링 실습여러분은 인터넷에서 매일같이 엄청난 양의 텍스트를 접하고 있다. 뉴스 기사, 소셜 미디어 글, 영화 리뷰까지, 이 모든 텍스트 데이터는 단순한 글자들의 모음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흥미로운 패턴과 이야기가 숨어 있다.예를 들어, 수천 개의 영화 리뷰를 보고 "이 영화는 정말 재밌다"와 "지루하고 볼 필요가 없다" 같은 의견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면 어떨까? 혹은, 비슷한 주제의 뉴스 기사를 한 그룹으로 묶어 관련된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면?이러한 작업이 바로 텍스트 클러스터링이다. 오늘 우리는 이러한 클러스터링의 기본 개념을 배우고, 이..

학습목표- 텍스트 분류의 기본 개념 이해- 텍스트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머신러닝 모델에 적용하는 방법 학습- 간단한 텍스트 분류 모델을 직접 구현 "기계도 편지를 읽을 수 있을까?" 어느 날, 여러분의 이메일함에 "당첨! 무료 여행 쿠폰!"이라는 제목의 메시지가 도착했다고 상상해 보자.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열어보았더니, 역시나 흔한 스팸 메시지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 우리는 제목만 보고도 스팸인지 아닌지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컴퓨터도 우리처럼 이런 메시지를 "읽고" 판단할 수 있을까?사실 컴퓨터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더 똑똑하다. 문자, 단어, 문장을 단순한 데이터로 보고 규칙을 배우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바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다. 머신러닝..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