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자 경험?“사용자가 제품, 시스템 또는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지각적·감정적·심리적 반응들의 총합”이다.→ 단순히 디자인의 만족도가 아니라, 사람의 내면적 경험 전체를 다루는 복합적 개념임을 강조한다. UX의 특징 단순히 기능이나 편리함을 넘어서,인지적 반응(perception)감정적 반응(emotion)심리적 반응(psychological response) 를 모두 포함한다.즉, UX는 “사용자 만족”을 측정하는 차원을 넘어,사람의 경험 전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UX의 실타래(Threads of Experience)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설명하기 위해 McCarthy & Wright(2004)는 “경험의 실타래(Threads of Experience)”라는..

3D 프린터 개념3D 프린터는 평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일반 프린터와 달리, 재료를 한 층씩 쌓아 올려 입체적인 물체를 제작하는 기계이다. 2D 프린터가 앞뒤(x축)와 좌우(y축)의 2차원 평면에서만 작동한다면, 3D 프린터는 여기에 상하(z축) 운동을 더하여 입력된 3차원 도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물 입체물을 만들어낸다.일반적으로 잉크(토너) 대신 특정 재료를 겹겹이 적층하여 입체를 제작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종이 한 장보다 얇은 0.01~0.08mm 굵기의 막을 층층이 쌓아 올리거나, 합성수지 덩어리를 깎아내는 방법 등을 통해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물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3D 프린터는 단순히 “찍어내는” 프린터가 아니라, 입체를 형성하는 조형(造形)의 기계라고 할 수 있다.3D 프린터의 작동 ..

2.드론(Drone)- “하늘 위의 스마트 디바이스” 드론(Drone)은 원래 꿀벌의 수컷을 의미하는 단어로, 윙윙거리는 소리를 본떠 명명되었다. 일반적으로는 원격으로 조종하거나 스스로 비행하는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를 가리킨다.드론의 역사는 군사용에서 시작되었다. 1916년, 무기를 실은 비행기를 원격으로 조종해 적을 타격한다는 Aerial Target Project가 추진되면서 군사용 무인기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수명을 다한 유인 항공기를 공중 표적용 무인기로 재활용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냉전시대에 들어서면서 무인항공기는 적 기지에 투입되어 정찰 및 정보 수집의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군사 전략의 핵심 도구로 자리매김하였..

학습목표- 스마트폰의 발전 과정과 운영체제(OS)의 특징을 이해한다. - 드론(Drone)의 정의와 핵심 기술, 최신 트렌드를 파악한다. - 3D 프린터의 원리, 주요 출력 방식,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 세 가지 디바이스가 디자인·예술과 어떻게 융합되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1. 스마트폰(Smartphone)스마트폰은 단순한 통신 기기를 넘어 생활 플랫폼으로 진화하였다. 2000년대 초반 피처폰은 전화·문자 위주의 폐쇄적 서비스였으나, 2007년 아이폰과 2008년 안드로이드의 등장은 앱스토어와 개방형 생태계를 만들어내며 모바일 혁명을 일으켰다.오늘날(2025년) 스마트폰은 AI 비서, AR/VR, IoT 연동까지 지원하며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도구가 되었다. 운영체제 특징안드로이드: 오픈소..

스마트 기술은 단순한 IT 기술 발전을 넘어 국가 경쟁력과 산업 구조 재편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각 국가는 자국의 산업적 강점과 사회적 배경을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방식에는 차이가 있으나 산업 고도화와 미래 성장 동력 확보라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대응1. 미국미국은 민간 주도형 혁신이 특징이다. 정부는 스마트 기술 발전의 큰 방향을 제시하고, 실제 연구개발과 투자는 구글, 아마존, 테슬라 등 민간 기업과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산업용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하여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연결하고, 초연결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특징..

03. HCI 3.0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사용자 경험의 정의사용자 경험(UX)이란 어떤 사용자가 특정 제품·시스템·서비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기를 기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지각과 반응의 총체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단순한 사용 편의성(usability)만이 아니라 감정, 신념, 선호, 지각, 신체적·심리적 반응, 행동, 맥락까지 포함된다.즉, UX는 기능적인 사용성만이 아니라 “이 제품을 쓰면서 어떤 느낌을 받았는가?”라는 정서적, 인지적 경험까지 고려하는 개념이다.UX의 세 단계UX를 사용 전 – 사용 중 – 사용 이후의 과정으로 설명한다.사용 전: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접하기 전에 가지는 기대와 신뢰예: 새로운 스마트폰을 사기 전, 성능과 브랜드에 대한 기대사용 중: ..

학습목표제1장의 학습 목표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의 정의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HCI의 발전 과정을 HCI 1.0, 2.0, 3.0으로 구분하여 각 단계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특히 HCI 3.0에서 강조하는 인공지능 기반 상호작용 구조인 지각(Sensing), 추론(Reasoning), 실행(Actuating)의 의미를 파악하고, 전통적인 사용자 경험(UX)과 실사용 중심의 경험(RUX)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다.들어가기전...사람들이 실제로 무언가를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 관찰하는 것이야말로인류에 대한 가장 적절한 연구이다. - -In "The Sciences of the Artificial"Herbert A. Simon-우리가 자연을 관찰함으로써 신의 섭리나 자..

여러분, 이번 장에서는 디지털 아트와 ICT의 융합을 살펴보겠습니다.1. 미디어의 정의우선, 미디어(Media)가 무엇인지부터 정리해볼까요?미디어란 인간이 지식, 정보, 감정, 문화를 생산·전달·저장·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매개 수단을 말합니다.즉, 미디어는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회, 세대와 세대를 이어주는 연결 고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2. 학문적 관점에서 본 미디어학문적 관점에서는 미디어를 조금 더 세분화해서 이해합니다.커뮤니케이션학 관점:미디어는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 채널입니다.예를 들어, 라디오는 전파를, 신문은 종이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죠.문화·예술학 관점:미디어는 단순 전달 도구가 아니라 사회적 의미와 경험을 형성하고 재생산하는 문화적 환경..

“산업혁명”이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증기기관, 공장 굴뚝, 전기, 컴퓨터… 이런 것들이 생각나죠?산업혁명은 단순히 기계나 기술의 변화가 아니라, 인간의 삶 전체를 바꾸는 거대한 변곡점이었습니다.그리고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4차 산업혁명의 한가운데입니다.이 혁명은 기존의 산업혁명과는 다릅니다. 왜냐하면 디지털, 물리적, 생물학적 세계가 동시에 융합되기 때문이죠.예를 들어볼까요?무인 자동차: 물리적 이동 수단에 인공지능과 센서 기술이 융합된 사례유전자 편집 기술: 생물학과 정보기술이 만나는 새로운 의학메타버스: 가상 공간과 현실이 실시간으로 연결되는 생활 플랫폼이 모든 것이 4차 산업혁명에서 등장한 변화입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1. 수렵사회와 농경사회 – 제1의 물결먼저 인류는 ..

4차 산업혁명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AI, 빅데이터, IoT 등)을 이해한다.디지털 기술과 스마트 기술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미디어(멀티미디어, 소셜미디어 등)의 발전 과정을 알 수 있다.디지털 아트와 ICT 융합 사례를 소개할 수 있다.기술이 예술과 디자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말할 수 있다. Getting Started “디자인은 기술을 배우고, 기술은 예술로 완성된다.” 오늘날 우리는 디자인, 기술, 예술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서로 긴밀히 얽혀 있는 시대를 살고 있다.conversence(융합, 경계가 무너진 하이브리드) 시대에 살고 있죠.“디자인은 기술을 배우고, 기술은 예술로 완성된다.”라는 말은, 단순히 기술을 도구로 배우는 것을 넘어, 그것을 인간적인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