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Council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에 기반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1. Discovering Requirements요구사항 발견(요구 분석)은 사용자의 니즈, 목표, 문제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이다.이 과정은 단순히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작업 맥락(context), 태스크 흐름(task flow), 기대 경험(expectations)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것이다.왜 중요한가?사용자들은 종종 자신의 니즈를 정확히 언어화하지 못하며, 시스템이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따라서 사용성 테스트, 사용자 인터뷰, 관찰 연구, 문헌 조사, 서베이 등을 활용하여 문제 공간(problem space)을 탐색하는 것이 핵심이다.참고 이론:Huma..

인터랙션 디자인의 구성 요소인터랙션 디자인은 단순한 UI 스케치나 기능 개발이 아니라 요구사항 도출, 설계, 프로토타이핑, 평가를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순환적인 프로세스이다.핵심 요소:사용자 중심 목표에 초점을 둠상충되는 요구 간 트레이드오프 조정다양한 디자인 대안을 생성하고 그 중 선택대표적 4가지 접근법:사용자 중심 디자인 (User-Centered Design)활동 중심 디자인 (Activity-Centered Design)시스템 디자인 (Systems Design)천재형 디자인 (Genius Design) The Double Diamond of Design –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영국 디자인 위원회(Design Council)에서 제안한 Double Diamond Model은 디자인 과정을 4단계로..
학습목표인터랙션 디자인이 어떤 활동들로 구성되는지를 이해한다.다양한 사람들이 인터랙션 디자인 과정에 참여할 때의 장점을 설명할 수 있다.사람 중심 디자인 접근법의 핵심 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인터랙션 디자인의 네 가지 기본 활동과 이들이 어떻게 생애주기(lifecycle) 모델에 통합되는지 설명할 수 있다.인터랙션 디자인 과정과 관련된 실제적인 질문들을 고민해본다.인터랙션 디자인 활동이 소프트웨어 개발 생애주기와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서론인터랙션 디자인이 실제로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 이해하기 위해, 가상의 디자인 사례를 생각해보자.당신이 사진, 동영상, 음악, 채팅, 문서 등을 쉽게 공유하고 큐레이션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디자인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

Usability GoalsUsability (사용성)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그 목적을 얼마나 쉽고, 빠르게, 오류 없이 달성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ISO 9241-11 기준에 따르면 사용성은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구체적인 사용성 목표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효과성 (Effectiveness)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얼마나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예: ATM에서 송금하기,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기효율성 (Efficiency)얼마나 빠르고 적은 노력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가예: 최소한의 클릭으로 검색 결과에 도달안전성 (Safety)오류 가능성을 줄이고, 잘못된 조작을 방지하는 설계예: "삭제" 버튼에 대한 이중 확인, 되돌리기 기능유용성 (Utili..
인터랙션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바로 "무엇을 디자인할 것인가?"이다. 이는 단지 기능을 추가하거나 시각적 요소를 꾸미는 문제가 아니라, 사용자와 제품 사이의 상호작용 자체를 어떻게 설계하고 최적화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이다. 이를 위해 설계자는 다음 세 가지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가 누구인가?연령, 성별, 문화, 장애 여부 등 사용자 특성 분석 필요어떤 활동을 수행하는가?정보 검색, 결제, 의사결정 등 사용자 목적을 파악어디에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가?집, 실외, 지하철, 조용한 도서관 등 환경적 맥락 고려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비로소, 사용자의 행동 흐름(flow)과 욕구(needs)에 맞는 인터페이스 설계가 가능하다. What is Interaction Desi..
학습 목표- 좋은 인터랙션 디자인과 나쁜 디자인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것이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및 다른 분야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 경험과 사용성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HCI 맥락에서 접근성과 포용성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인터랙션 디자인 과정에 포함되는 요소들과 관련된 주체들을 파악할 수 있다.- 인터랙션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가이드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현대 사회에서는 수많은 인터랙티브 제품들이 우리의 일상 속에 깊이 들어와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노트북과 같은 디지털 기기뿐 아니라, 커피 머신이나 프린터, 스마트 TV 등도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제품이다. 하지만 이들 제품이 모두 사..
1.HCI란 무엇인가?HCI(Human-Computer Interaction)는 인간과 컴퓨터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컴퓨터 과학, 심리학,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와 교차하며 발전해온 다학제적 영역이다. 2. HCI의 역사초기 HCI 연구는 대형 컴퓨터와 터미널 기반 시스템을 다루던 전문가 사용자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는 명령어 기반 인터페이스(Command-Line Interface, CLI)가 주류였고,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능력이나 기술적 숙련도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주로 전문가의 작업 효율, 오류율, 반응 시간 등 생산성과 효율성 개선을 핵심 목표로 연구하였다.이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등장하면서 상황이 크게 변하였다. GUI..
주차시간내용 과제 1주1오리엔테이션 2HCI 개론 소개HCI 정의 및 역사 3 HCI 연구동향과 필요성HCI 사례 조사 및 토의 2주 인간 요소 이해 1인간 정보처리 과정 인지 모델의 기본 구조 사용자 행동 관찰 과제 3주 인간 요소 이해 2지각과 주의 기억과 인지적 부하 간단한 실험 설계 및 수행 4주 사용자 요구 분석사용자 연구의 필요성 사용자 조사 방법 (인터뷰 등) 인터뷰/설문지 작성 실습 5주 사용자 모델링페르소나 정의와 작성법 시나리오 설계 팀별 페르소나 작성 6주 UI 설계 원칙 1UI 설계 원칙(일관성, 가시성) 설계 원칙 적용 사례 분석 UI 사례 평가 및 개선 아이디어 도출 7주 UI 설계 원칙 2..

1.필로우(Pillow)라이브러리란?이미지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 - , 이미지 파일을 생성, 수정, 열기 등 다양한 이미지 처리 작업을 수행필로우는 많은 영상 포맷을 지원(BMP, EPS, GIF, IM, JPEG, MSP, PCX, PNG, PPM, TIFF, WebP, ICO, PSD, PDF 등의 형식을 지원)2.pillow 설치pip install pillowfrom PIL import Image# Print the PIL versionprint(Image.__version__) 기본 사용 예시from PIL import Image# 이미지 열기img = Image.open('example.jpg')# 이미지 정보 확인print(img.format, img.size, img.mode)# 이미지 ..

학습목표 라이브러리의 개념을 익히고 외부 라이브러리를 설치 할 수 있다.다양한 외부 라이브러리를 익히고 프로그램에 사용 해 본다.1.라이브러리 개념 라이브러리(library)는 도서관이라는 말 뜻대로 다양한 함수가 모인 곳즉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미리 작성된 코드의 집합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프로그래머가 새로운 코드를 처음부터 작성할 필요없이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 줌2.다양한 라이브러리 예 NumPy: 과학 계산을 위한 기본적인 라이브러리, 강력한 N차원 배열 객체와 이를 처리하는 다양한 함수를 제공합니다. 선형대수, 푸리에 변환, 난수 생성 등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기본 패키지 중 하나입니다.Pandas: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위한 라이브러리, 특히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를..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