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디자인이 사용자 니즈와 맥락을 고려해 설계되었더라도, 기존의 **관습(Conventions)**과 충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오랜 시간 동안 특정 방식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새로운 방식이 아무리 사용자 중심적으로 설계되었더라도 그 변화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아래에 몇 가지 사례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1. 햄버거 메뉴 아이콘의 도입설명: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에서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도입된 **햄버거 메뉴 아이콘(☰)**은 메뉴 항목을 숨겨서 화면 공간을 최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디자인은 관습과 충돌한 대표적인 예입니다.니즈와 맥락: 햄버거 메뉴는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의 니즈(좁은 화면에서 더 많은 내용을 보여주기)와 맥락..
http://chrome-extension://efaidnbmnnnibpcajpcglclefindmkaj/https://uiux.egovframe.go.kr/resources/file/UIUX-guideline-2023.pdf디지털 정부 서비스의 UI/UX 원칙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사용자의 요구와 행동을 중심으로 설계.모든 사용자를 포용하는 서비스: 장애인, 고령자, 외국인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 그룹을 고려.일관성 있는 경험 제공: 서비스 간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개별 특성을 고려.빠르고 간단한 서비스: 간단한 절차와 빠른 접근성.이해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사용자들이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상황을 고려한 서비스 제공: 사용자가 처한 다양한 상황(환경, 디바이스 등)을 고려.신뢰할..

double diamond process ①프로젝트 정보입력 ②발견단계(발산):프로세스 단계별 핵심 기능 체크 •필수적으로 필요한 항목 나열, 이후 자신의 서비스에 필요한 항목은 개별로 작성 후 체크 표시 •필수항목 : 핵심 고객 설정, 관찰법, 인터뷰, FGI •추가항목 : 자료조사, 경쟁분석, 시장조사, 사용자모델링 등 ③정의단계-수렴단계 ④문제해결단계(발산) ⑤구현단계(수렴) ⑥구체적인 방법론 기술 ⑦여백활용 : 서비스 제작을 위한 일반적인 검토사항, 법규, 제한사항 등을 자유롭게 메모 앱 개발에 적용한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예제: 1단계: Discover (발견) 목표: 사용자의 필요와 문제점을 이해합니다. 활동: 사용자 인터뷰, 설문조사, 경쟁사 분석 등을 진행합니다. 예제: 음식 배달 앱을..

제이콥 닐슨(Jakob Nielsen)의 휴리스틱 평가(Heuristic Evaluation)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사용성 가이드라인을 얼마나 잘 따르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이 방법은 일반적인 사용성 원칙(휴리스틱)을 사용하여 디자인 결함을 식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휴리스틱 평가 (Heuristic Evaluation)어원 : 그리스어 “발견하다”시스템 디자인의 결정/평가를 할 때 사용하는 일종의 가이드 라인휴리스틱 평가(Heuristic Evaluation): - 인간의 직관이나 경험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학습, 발견하는 방법을 지칭 -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사용성 문제를 찾기 위한 사용성 엔지니어링 방법론휴리스틱 평가를 제안한 제이콥 닐..
제록스(Xerox) 사는 컴퓨터 과학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 분야에 있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그들의 연구 기관인 Xerox PARC (Palo Alto Research Center)는 1970년대에 혁명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많이 개발했습니다. 여기에서는 현재까지 널리 쓰이고 있는 여러 가지 기술과 개념이 처음 탄생했거나 발전했습니다. 1.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Xerox PARC에서는 GUI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실용화되었습니다. 창, 아이콘, 폴더, 마우스 등,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GUI 요소가 이곳에서 개발되었습니다. 마우스와 포인터 디바이스 : 마우스는 그 전에도 존재했지만, Xerox PARC에서는 이를 GUI와 결..
앱상의 대문페이지라고 할 수 있는 스플래쉬 스크린, 코치마크, 워크스루의 디자인시 유념해야 할 사항에 관하여 알아보자. 스플래시 스크린 - 스마트폰에서 앱을 실행했을 때 구동 전에 나오는 화면 - iOS와 안드로이드 가이드에서는 런치 스크린Launch Screen이라고 부르는데, 최근에는 스플래시 스크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 도움말의 부가적인 기능까지 포함되는 코치마크와 워크스루로 대체하는 추세입니다. - 앱을 실행할 때마다 보이 기 때문에 반복적인 노출로 사용자에게 앱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 구성 : 아이콘, 로고, 스크린샷 - 스플래시 스크린의 역할은 흰색의 빈 화면만 보일 때 와 달리 작동여부를 분명히 알 수 있어야 하면 사용자의 지루함 감소 브랜드 로고 노출을 통한 홍..
스마트폰에서의 아이콘 아이콘은 형태와 색상 등의 그래픽 요소를 포함한 시각 이미지로, 앱의 속성과 역할을 대변한다 아이콘의 디자인적 요소 color, size, shape - 앱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 요소를 특별한 모양으로 표현해야 하며, 배경은 심플, 투명도를 적용하지 - 사진이나 스크린샷 또는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 아이콘을 앱 전체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다. - 아이콘을 제작한 후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홈 화면 배경을 고려해 여러 바탕화면에서 테스트한다. 아이콘 디자인의 특징 ①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 : 사용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정보의 의미를 그래픽 요소를 통해 문자 정보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② 공간의 효율성 : 아이콘은 좁은 공간에서의 표현이 가능하..

•모바일 앱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네이티브 앱(Native App)과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으로 구분되지만, 최근에는 프로그레시브 웹 앱(Progressive web App)과 모바일 웹(Mobile web)도 앱의 종류에 포함된다. 1> 네이티브 앱(Native App모바일 기기에 직접 설치되고 운영 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2/3> 모바일 웹 + 앱(Mobile WebApp)OS와 상관 없이 웹을 통한 풀 브라우징(Full Browsing)을 지원하는 모바일상의 홈페이지로 HTML 기반.좀더 네이티브앱처럼 제작하는것을 모바일 웹앱iOS, Android SDK 와 같은 네이티브툴에서 URL을 웹뷰(Web View) 형태로 보여주는 앱도 웹앱4/5> 반응형웹앱(RWA) / 적응형 웹앱(AWA)..
- Total
- Today
- Yesterday